‘데이터 댐’ 전략의 핵심 과제…10개 분야 데이터 수집‧가공해 활용성 높였다

[아이티데일리] 문재인 정부는 최근 수 년간 데이터 기반의 IT 산업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올해에는 국내 ICT 생태계의 혁신을 위한 ‘디지털 뉴딜’ 전략을 발표하며 ‘데이터 댐’이라는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과거 후버댐 건설이 미국 대공황 시절에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던 것처럼, 모든 IT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들을 결집한 데이터 댐을 건설해 국내 IT 산업계의 부흥을 이끌겠다는 취지다. 데이터 댐 이전에는 모든 산업계를 데이터를 중심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데이터 고속도로라는 개념이 제시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공공과 민간이 협업해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풀을 구축하고자 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사업’이 진행됐다. 데이터 중심 IT 정책의 일각을 담당하고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사업의 현황을 살펴본다.

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IT 산업계 혁신 기반 다진다

② 산업계 수요 촉진해 자생 가능한 항구적 플랫폼 마련

세계 최초 공공-민간 협업한 데이터 유통 플랫폼 구축

지난 2018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은 데이터 규제혁신 행사에 참석해 “대한민국은 인터넷을 가장 잘 다루는 나라에서 데이터를 가장 잘 다루는 나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2019년에는 국내 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1조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공공 데이터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적극 공개하거나, 데이터 확보‧가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을 위한 데이터 구매‧가공 바우처를 제공하겠다는 계획들이 포함됐다. 금융과 통신 분야에서 먼저 시작된 ‘마이데이터 시범사업’ 역시 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사업’은 이러한 취지의 연장선상에서 시작됐다. 해당 사업은 국내 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추진한 사업이다. 국내 전 산업계의 혁신을 위해서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 및 유통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데이터 생태계의 활성화를 가속한다.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그동안 소외돼 있던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들을 수집‧생산‧구축하고 개방 및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당시 정부가 주도하면서도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운영되는 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것이었다. 가령 데이터 유통이 활발하고 관련 생태계가 잘 갖춰졌다고 평가받는 미국의 경우, 데이터 브로커 역할을 하는 민간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생산하고 가격을 매겨 유통 체계를 완성했다. 반대로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거래 플랫폼을 구축했다. 운영 또한 국유기업이 담당해 민간 기업의 개입을 배제했다.

공공기관 입장에서야 다양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민간과 공유해 시너지를 일으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게 좋다. 하지만 민간 기업 입장에서는 직접 생산‧수집하고 구축해온 데이터들을 다른 기관‧기업과 공유할 이유가 없다. 데이터가 기업의 핵심적인 경쟁력으로 떠오른 시대에 독자적인 데이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은 큰 힘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기업들이 안으로 숨기고 있는 데이터들을 밖으로 끄집어내어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단초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기업들이 당장은 데이터 공개에 부담을 느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다른 기업들이 공개한 데이터들과 접목할 기회를 얻음으로써 자신들에게도 이익이 돌아갈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

NIA 측은 지난해 초 이번 사업에 대한 공모를 진행할 때,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목록을 공유하며 많은 파란이 일었다고 설명했다. 참여 기업들이 서로가 필요로 하던 데이터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사업 추진 이전부터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거래하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본격적인 플랫폼 구축사업에 들어가기 전부터 이미 서로 데이터를 공개‧공유하는 일이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하게 된 것이다.


지난해 인프라 구축에 초점…분야별 10개 과제 선정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사업에는 2019년부터 3년간 총 1,516억 원이 투입되며, ▲데이터 생산·구축·수집·분석·유통·활용 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데이터 품질 확보 및 표준화 등 양질의 데이터 재생산 비용과 창업 지원 ▲데이터 도메인별 전문 교육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문기술 지원 등에 활용한다.

▲ 최종적으로 선정된 10개 빅데이터 플랫폼

해당 사업은 정부의 주도와 투자를 통해 산업 분야별로 10개의 빅데이터 플랫폼과 100개의 센터를 구축하게 되지만, 사업 종료 후에는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 없이도 해당 플랫폼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목표다. 이는 플랫폼 간의 체계적인 정보 공유와 협력,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들을 한 데 모음으로써 가능해진다. 10개로 나뉜 각각의 플랫폼에서 각 산업별 특징을 살린 데이터들을 결합해 시너지를 일으키고, 이렇게 결합된 데이터들을 플랫폼 간의 유기적인 소통으로 다시 결합시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가치를 가진 데이터들을 생산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간에도 시너지를 일으키기 위해 각각의 과제는 해당 분야에서 양질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 기업들과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 그리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기관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했다. 가령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문화·미디어 분야의 ‘문화체육관광 빅데이터 플랫폼’의 경우, 한국문화정보원을 중심으로 22개 기업·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다.

사업 1차 년도였던 지난해에는 플랫폼 및 센터의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뒀다. 지난 3월 6일부터 4월 16일까지 사업 공모를 실시해 총 10개 분야에서 44개 빅데이터 과제를 접수했으며, 두 차례의 평가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10개의 과제를 선정했다. 하반기에는 플랫폼과 센터 구축이 본격적으로 추진돼, 본격적인 데이터 확보와 유통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