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로드맵 변경 및 서브스크립션 모델 전환…국내 기업 및 기관 현명한 대처 필요

[아이티데일리] 내년 1월부터 오라클 자바SE(Standard Edition)의 과금 정책이 라이선스 방식에서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구독형) 방식으로 전환된다. 자바SE의 과금 정책 변경은 이미 지난해에 공지됐으며, 수 개월 전부터는 자바가 설치돼 있는 PC에서 자바를 업데이트 할 경우 ‘자바SE에 중대한 변화가 있다’는 안내박스가 뜨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자바는 오픈소스이며 공짜’라는 인식이 팽배하게 퍼져있었다. 심지어 본지에서 취재 중에 만난 3년차 개발자는 이번 이슈가 일어나기 전까지 자바가 유료로 서비스된다는 것을 몰랐다고 답해, 오라클 자바 라이선스 정책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라클의 자바SE 과금 정책 변경과 이에 대처하기 위한 기업 및 기관들의 행보를 확인해본다.

 

오라클 자바 유지…IT 환경 전수조사 필요
오라클의 자바 가격 정책 변경에 맞춰 국내 기관 및 기업 앞에 놓인 선택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장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은 오라클 자바를 서브스크립션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오라클이 제시하는 새로운 가격 정책에 맞춰 적절한 비용을 내고 이용하면 된다. 그렇게 되면 기업 내 IT 조직 입장에서는 개발 측면에서 고민해야할 것들이 줄어든다. 시스템 상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인 환경을 그대로 유지해 나갈 수 있다.

만약 오라클의 가격 정책 변경에 맞춰 서브스크립션 방식의 비용 처리를 고려하고 있다면, 가장 먼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IT 환경에 대한 전수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오라클의 자바 서브스크립션 모델은 서버·클라우드 코어 단위, 데스크톱 사용자 단위로 비용을 산정한다. 따라서 현재 기업 내에서 오라클 자바를 사용하고 있는 전체 코어 수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비용을 점검해야 한다.

물론 오라클 제품에 탑재된 오라클 자바는 과금 대상이 아니므로 전수조사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독자적인 JDK를 개발해 사용하는 IBM이나 SAP, 레드햇 등이 자사 제품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별도의 JDK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것과 같이, 오라클 역시 오라클 제품 내에서 오라클 자바SE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과금 정책을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영 측에서는 오라클 제품 이외의 환경에서 오라클 자바가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전수조사 중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바 버전 업데이트 및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라클의 제품 지원 정책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오랫동안 안정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바SE 버전으로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자바SE 6과 같이 오래된 버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기업은 보다 적극적으로 업데이트를 고려해야 한다.

이미 발빠르게 움직이는 기업들은 수개월 전부터 자사 IT 시스템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국내 한 중소SW기업 관계자는 “조금 늦기는 했지만 오라클 가격 정책 변경에 대비해 사내 IT 시스템에 대한 전수 조사를 수행 중”이라며, “아직 오라클 자바SE를 유료로 이용할 지에 대해서는 결정이 나지 않았는데, 곧 전수 조사가 끝나고 나면 어느 쪽이든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해당 관계자는 “전수조사 결과 충분히 감당 가능한 비용이라면 오라클 자바를 유지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오픈JDK 전환, 해묵은 개발 관행이 발목 잡아
다음으로 고려해볼 만 한 방법은 자바를 오픈소스로 이용하는 것이다. 오라클이 패키징해 제공하는 오라클 자바SE가 아닌, 자바 커뮤니티에서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표준화된 레퍼런스 오픈JDK를 활용하면 된다. 오라클이 지난 10월 오라클 코드원(Code One) 행사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오라클 자바SE와 오픈JDK는 완전히 동일하게 출시된다.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오픈JDK를 사용한다고 해도 새롭게 출시되는 자바의 기능은 모두 활용할 수 있다. 6개월마다 기존 버전의 버그픽스 및 업데이트가 종료되고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는 것도 마찬가지다.

물론 기존에 라이선스를 구입했거나 서브스크립션 고객과 완전히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픈소스이므로 라이선스 구매나 유료 구독과 같은 별도의 비용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동시에 오픈소스를 이용하면서 응당 겪게 되는 많은 문제점에 마주해야만 한다. 기업에서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 오픈소스를 자체적으로 도입해 사용한다는 것은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 상황에 대해 스스로 책임지겠다는 의미다. 이는 자바도 마찬가지다.

가장 중요한 것은 6개월마다 기존 버전에 대한 무료 업데이트가 종료된다는 점이다. 유료 사용자들은 자바SE 11과 같은 LTS(Long-Term-Support) 버전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지만, 오픈JDK 사용자들은 출시로부터 6개월이 지난 시점부터는 버그픽스나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 자바는 전 세계에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IT 환경에 적용되고 있는 만큼 사이버공격의 대상으로 노려지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가운데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주요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은 심각한 위협을 야기할 수 있다.

물론 6개월 주기로 발표되는 오픈JDK 최신 버전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시스템을 개편할 수 있다면 이러한 업데이트 제공 이슈에서는 자유롭다. 기업 내 IT조직이 새로운 자바 버전 출시와 로드맵에 대해 관심을 갖고, 새로운 자바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끊김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면 말이다.

문제는 이것이 국내 IT환경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일이라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단일(monolithic) 애플리케이션을 빅뱅 프로젝트로 개발한다. 대부분의 IT 시스템은 SI 사업으로 개발되고 이후 보다 적은 인력으로 구성된 운영조직으로 이관해 관리된다.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수정하고 직접 개발에 관여해 개선해나가기보다는, 수 년에 한 번씩 차세대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외부 전문 SI기업의 손을 빌려 개발한다. 자사의 IT 시스템에 대한 높은 이해를 갖추고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국내기업은 매우 적다. 이러한 환경에서 6개월에 한 번씩 출시되는 최신 버전의 자바를 받아들이고 적용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이는 비단 자바 기반 시스템만의 얘기는 아니다. 이미 많은 업계 전문가들은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 통합 및 배포(CI/CD)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등은 이미 전 세계 IT 조직의 트렌드이자 필수요소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국내 기업 및 기관들도 받아들여 IT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자체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픈JDK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조직이라면 자사 IT 시스템 개발 역량을 내재화하고 민첩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대해 국내 자바 챔피언인 양수열 온페이스 대표는 “자체 인력들이 개발을 하고 서비스 유지보수를 하는 기업들에게는 이번 자바 과금 체계 변경이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며, “우선 오픈JDK 전환을 위한 테스트를 작게라도 시작하는 등, 이러한 변화에 대한 로드맵을 가지고 자바 버전업 속도에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